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y admljy19

View this thread on steempeak.com
· @admljy19 · (edited)
$27.15
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간만에 변호사로서 법치주의에 대해 한 번 적어볼까 합니다. 

제 글을 자주 보는 분들은 이미 아시겠지만 전 변호사임에도 불구하고 법에 별 관심이 없습니다. 적성에도 안 맞고요. 하지만 그와 별도로, 얼핏 딱딱해보이는 법이 사회를 추동하는 힘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 글은 전문적인 법 철학에 근거하여 작성되지 않았을 뿐더러, 서구와 비서구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다소 불편할 수는 있지만 그래도 스팀잇 유저 분들이라면 여기서 몇 문장 정도는 재밌게 읽어주시지 않을까라는 심정에서 이 글을 포스팅합니다. 

법치주의란 문자 그대로 법에 의한 통치를 말합니다. 어떻게 보면 대단히 이해하기 쉬운 개념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적용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특히 국가의 운영 같이 거시적인 영역 뿐 아니라 당장 가까이 여러분의 일상생활까지 아우를 수 있는 이데올로기로서, 법치주의라는 이 짧은 단어가 가진 파급력과 힘을 명확히 아시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
​
![U5dsREdUku3cJPbZsLRDv23wFfAFYnq_1680x8400.png](https://steemitimages.com/DQmcHZhEYkPCbuJGJdKx7gJs6JfQuunEGBbG7mwQ4ckiQmC/U5dsREdUku3cJPbZsLRDv23wFfAFYnq_1680x8400.png)

​질문을 하나 드리겠습니다. 위의 지도에 적혀 있는 숫자는 뭘까요? 다른 게 아니라 IQ입니다. 한국에서 아이큐가 120이라고 하면 사실 그렇게 높은 수준은 아닙니다. 하지만 보시다시피 세계 평균으로는 대단히 높은 수치입니다. 한국에서 아이큐 두 자리라고 말하면 그건 욕으로 듣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흔히 말하는 두 자리대 아이큐의 소유자도 많은 겁니다. 한국 뿐만이 아닙니다. 보시다시피 동아시아인들의 아이큐는 상당히 높습니다. 미국 명문 대학에서는 동아시아 출신들이 하도 입학을 많이 해서, 아예 쿼터로 제한을 해놓았습니다.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는 다른 인종들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아야죠. 그런데도 동아시아 출신 입학생들의 비율은 갈수록 늘어납니다. 최근에는 이게 단순히 공부를 중요시하는 문화에서 비롯된 성과가 아니라 아시아 사람들이 머리 자체가 좋다는 연구 결과를 공공연하게 내놓은 논문도 많습니다. 높은 지능을 가진 사회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사회는 다른 사회, 다른 문화권으로 강한 힘을 투사할 수 있습니다. 유대인들이 좋은 예이죠.

그런데 왜 동양 사회는 서구에게 뒤쳐지게 됐을까요? 뒤쳐졌다, 이 표현에 거부감을 느끼시는 분도 계시겠죠. 하지만 전 더 적나라한 단어도 쓸 수 있습니다. 그건 바로 패배입니다. 지금 중국이 G2로 뜨고 있긴 합니다만 부정할 여지 없이 현재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서구입니다. 그리고 동아시아 사회는 아편 전쟁부터 시작해 1980년대 미국과 일본의 경제 전쟁까지 대부분 서구 사회와의 굵직굵직한 싸움에서 패배해왔습니다.

현재 저희가 입고 있는 의복부터 배우는 학문이나 사회 제도 같은 것들은 대부분 서구에서 유래되었죠. 이런 지엽적인 것들을 넘어 가장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부분은 언어입니다. 지금 여러분들이 일상생활에서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쓰고 있는 대단히 많은 단어들은-그 유래를 찾으면 얼마나 많냐면 없던 단어가 있던 단어보다 월등히 많습니다-불과 백년 전만해도 한국어에는 전혀 없던 것들입니다. 서양에서 만들어진 것을 일본 언어학자들이 아주 짧은 시간 안에 번역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죠. 비트겐슈타인을 위시해 최근 연구에 따르면, 언어란 단순히 의식을 표현하는 수단이 아니라고 합니다. 오히려 반대로 언어가 그 자체로서 의식을 형성한다, 그 사람의 언어의 한계가 곧 그 사람 세계의 한계다, 즉 극단적으로 우리는 서구인들이 그린 세계 위에서 그들의 정신적 지배를 받고 있다, 그렇게 말해도 생각보다 반박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그럼 차라리 완전히 서구화가 되어 그들 사회의 일원이 되었느냐, 또 그것도 아닙니다. 그랬다면 굳이 법치주의에 대해서 다시 설명 드릴 필요도 없겠죠. 결국 그 근간에 들어가면 본질적인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fsi-foreign-service-institute-language-difficulty-639x1024.png](https://steemitimages.com/DQmPmGZjZPN3E7DE2wE2j63Ng1j4J7r3tW9iB8GC19mF66p/fsi-foreign-service-institute-language-difficulty-639x1024.png)

이 표는 미국인들 기준에서 가장 배우기 어려운 언어를 순위 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한국어가 수위권에 있습니다. 저는 예전에 히딩크 감독이 8개 국어를 한다는 걸 듣고 깜작 놀랐는데 사실 같은 유럽 어족의 언어는 서로 배우기가 쉽습니다. 스페인어와 프랑스어, 영어와 독일어가 갈라진 지가 채 이천년이 안 되는 걸로 추측될 정도니까요. 반면에 이 표를 통해 영어와 한국어는 거의 유사점이 없는 언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영어를 배우고 여기에 막대한 금전을 쓰고 있지만 왜 영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는지 그 이유를 아실 수 있죠. 하지만 끊임 없이 상대의 언어에 영향을 주며 배울 것을 강요하는 쪽은 당연히 한국어가 아닌 영어입니다. 서구와 동양 사회의 근간에 있는 그 차이에 있어 불이익을 고스란히 받아야 하는 쪽은 서구가 아닌 우리입니다.

무엇이 이런 패배를 만들었는가. 제레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자신의 저서 「총균쇠」에서 동아시아의 해안선은 복잡하지 않아서 중국과 같은 장기 중앙 집권 국가 탄생이 용이했고 그래서 서구 같은 소국들의 경쟁하는 구도에 비해 사회 전반의 창의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서 그랬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는 단순히 서구가 신대륙이랑 더 가까웠고 그래서 더 빨리 신대륙의 자원을 수탈할 수 있어서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다 설득력이 있는 이야기죠. 하지만 제가 꼽는 동아시아 사회와 서구 사회의 결정적 차이는 바로 이 강의의 주제인 법치주의입니다.

![U5drAPJ68CHQH9DFMYaQtxoQ68TBXED_1680x8400.jpg](https://steemitimages.com/DQmNsgzQ2CqS1wxDBYgJWDHXkND5fmWthpzExmMm2qdV7Bz/U5drAPJ68CHQH9DFMYaQtxoQ68TBXED_1680x8400.jpg)

로마 제국은 어떻게 유럽을 제패했을까요? 이탈리아인들은 다른 유럽인들에 비해 상당히 왜소한 편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 문명의 모태인 그리스를 포함해서 다른 유럽 세계와 명확히 구분되는 하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바로 법치주의죠. 법치주의가 확립되어있던 로마는 자신보다 월등한 신체 조건을 가지고 있던 호전적 남성들이 거주하는 유럽을 철저하게 지배했을 뿐 아니라 지배한 세계 대부분을 자기 문화권으로 동화시켰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법은 우리가 흔히 암흑기로만 오해하고 있는 중세에도 교회법으로 이어져 그 소임을 다해왔습니다.

법이라는 것은 그 자체로 로켓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법은 세계를 지배하는 툴로서 서구 문명의 정수이자 그 요체입니다. 사회의 발전에 매우 역동적이고 창의적인 힘을 부여하죠.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두 가지로 꼽힙니다. 바로 첫 번째. 법만큼 인간의 이기심, 그 사유재산제에 부합하는 통치 기술이 없습니다. 법을 통해 인간의 이기심과 창의력을 극도로 끌어낼 수 있죠.

제가 구경했던 사건 중 다음과 같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분양 회사 변호사가 피고 아줌마한테 분양 대금을 안 내서 계약이 원천 해제 됐으니 나가라고 하더군요. 여기서 법적으로 의미 있는 주장은 분양 대금을 냈는지 내지 않았는지, 만약 내지 않았다면 추후에 이 하자를 치유했는지 정도입니다. 그런데 이 분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합니다. 분양 대금을 안 냈다고 저 쪽 분양회사 사람이 욕을 했다. 내 아들 앞에서 어머니 욕을 했는데 모욕감을 견딜 수 없었다, 이 말을 반복적으로 하시더군요. 그 분의 그런 읍소는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와 별도로 본 사안에서 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판결을 내리시는 판사 분은 개인적으로 제가 아는 인격적으로 매우 훌륭한 분이셨죠. 하지만 그 분은 고민 없이 그 아주머니의 패소를 선고했습니다.

민사 법원은 어떤 점에서는 수학 공식과도 같은 법 조문에 사실 관계를 대입시켜서 결론을 내는 곳이지 개별 사람들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곳은 아닙니다. 이런 점에서 법은 차가워 보이죠. 하지만 또한 대단히 효율적입니다. 1에서 1을 더했다면 2다. 개별 사람들의 스토리가 개입될 여지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하지만 그래서 결론도 빠르고 사람들은 법이라는 툴 내에서 행동하면 이윤을 취할 수 있고 가령 도의적 비난 소지가 있을지라도 여하간 적법하게 획득한 재산이라면 법이 지켜준다는 확신을 가지고 움직이게 됩니다. 이기심에 기댄 개별 사람들의 이윤 추구는 사회의 혁신을 빠르게 진행시키죠.

법이 아닌 다른 것에 의존하는 이데올로기의 특징은 이 같은 인간의 이기심을 도외시한다는 점입니다. 요컨대 사법부의 독립성과 권위가 보장되지 않은 구 소비에트 연합이나 동아시아적 덕치는 인간의 본성을 함양 또는 계몽하여 자발적으로 공동체적 선을 이루려는 특징이 있습니다. 실제로 소비에트 체제 하의 제 일 세대는 혁명의 세대라는 자부심으로 뭉쳐 일시적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생산성을 능가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모두 알고 계신 바와 같이 오래 가지 못했죠. 법 없이도 사는 사람이다, 이런 표현에서 보듯 법이라는 것은 이상론적인 사회에서는 전혀 쓸모가 없는 것입니다만 역사가 증명하듯 그런 사회는 없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법이라는 것은 누구에게나 공평 타당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수평적 사회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당신이 어떤 인격의 소유자이고 사회적 지위가 어떤지 우리는 그런 거 모른다. 법치주의가 지배하는 민주주의 사회의 법정에는 원칙적으로 대등한 원고와 피고만이 있어야 합니다.

동아시아 사회, 특히 한국 사회는 이와 정확히 상반된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흔히 말하는 인치(人治)입니다. 제가 중학교 때 한 미술 선생님은 학생들의 미술 점수를 줄 때 습관적으로 했던 말이 있습니다. 나는 미술 점수만 보지 않는다. 학생의 인성까지 함께 본다. 얼핏 들으면 나쁘지 않은 말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실력보다 인성이 우선이다. 저희가 성장하면서 적지 않게 들어왔던 말이기도 하죠. 정작 그 선생님은 학생들의 인성을 제대로 평가했을까요? 제가 보왔을 때는 평가가 공정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그 선생님 자체도 그렇게 인격적으로 훌륭한 분이 아니었습니다. 인사고과를 인성으로 준다면 어떨까요? 인성이라는 건 상당히 주관적인 잣대입니다. 일 잘하는 김대리가 부장님과 사이가 안 좋다면 객관적인 평가가 될까요? 이것이 인치의 근본적인 약점입니다.

조지 워싱턴 대의 아시아 계 법학 교수인 앤디 선은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중국인들은 기계적인 방식이나 법에 호소하는 문제 해결을 싫어한다. 중국 뿐만이 아니죠. 전반적으로 동양 사회는 법에 의한 엄격한 결정보다 조화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얼핏 들으면 장점이 있는 것 같기도 하죠. 하지만, '조화' '덕' '인치' 이런 것들은 그 평가가 대단히 주관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의 호불호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지니죠.

제가 '인치'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한국 사회에서 강조되는 '인(人)'이 뭘까요? 보통은 나이입니다. 내가 나이가 많은 사람, 인(人)이니까 너는 나의 말을 따라야 해. 또는 학번이나 직급일 수도 있겠죠. 결과적으로 얼핏 정감 있게 들리는 인치라는 것은 필연적으로 수직적 사회를 만들 수 밖에 없습니다.

다시 말합니다. '인치'라는 것은 그 사람의 능력보다 그 사람의 캐릭터에 관점을 집중시킵니다. 물론 사람을 뽑는 데에 인성이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는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인성이란 말 하나로, 좀 직설적으로 말하면 싸가지가 있다 없다는 막연한 이유로 수 많은 천재들이 도태되어 오거나 또는 조직 내에 수 많은 부조리가 너무나 당연한 것처럼 횡행해온 것 역시 부정할 수는 없는 사실입니다.

반면 법치주의라는 것은 얼핏 보면 차가워 보입니다. 만약 아는 형이나 동생이 술을 마시다가 싸우고 동생이 “법대로 해.”라고 말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건 이제 둘 사이의 형 동생 관계가 끝났다는 말이죠. 한국 사람들은 소송하기를 좋아하지만 이와 별도로 법이라는 단어에 거부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자 제가 하나 질문 드리겠습니다. 만약 어떤 여성 분이 남자에게 프로포즈를 받았다고 가정합시다. 감동의 이벤트가 끝나 결혼을 결심한 그 순간 남자가 갑자기 품에서 뭔가를 주섬주섬 꺼냅니다. 그런데 그게 다른 게 아니라 이혼 계약서입니다. 너랑 살다보면 이혼할지도 모르니 일단 이 계약서에 서명을 하자, 그럼 아마 한국 사람들은 대부분 결혼을 안 할 거니다. 싸다구를 맞을 수도 있겠죠. 하지만 실제로 서구인들은 이런 식의 계약서를 많이 씁니다. 부모 자식 간에도 쓸 때도 있고요. 막연히 차갑게 느껴지십니까?

법치주의라는 것은 결국 그 사람의 인성이나 지위가 아닌 냉엄한 법문을 통해 판단을 하기 때문에 수평적 사회구조를 창출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요컨대 그것은 객관성이죠. 아는 친구가 있어서 원래 한 시간을 기다려야 처리되는 일을 바로 처리했다. 훈훈한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흔히 말하는 급행료를 만들고 학연이나 지연 카르텔에 따른 인의 장벽을 쌓습니다. 또한 개인이 가진 권위에 맹종하게 되고 자연스레 사회적 지위에 집착하는 사회를 만듭니다. 그리고 그런 시스템 하에서 능력 위주의 객관적이고 수평적인 경쟁은 이루어지기 어렵습니다.

![U5drrEzBLqc9vvjAXrqqSYKDg9z2TwG_1680x8400.jpg](https://steemitimages.com/DQmQ7d52D6vCTdP4GftuV42ToJX5E4B7gmWoaQ1ZwYUXsri/U5drrEzBLqc9vvjAXrqqSYKDg9z2TwG_1680x8400.jpg)

다음 사진을 볼까요. 누구죠? 포청천입니다. 드라마를 보면서 참 훌륭한 판관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는 몇 가지 결정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일단 이 드라마는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사법 시스템이 매우 특출한 사람이 해당 자리를 점하지 않는다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역설적으로 서구의 드라마가 극의 재미를 위해 변호사에게 스포트라이트를 비출 뿐 판사에게 비추지 않는 것은 굳이 아주 특출난 사람이 판사를 하지 않더라도 그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면을 보셔야 합니다.

뛰어난 한 개인의 능력에만 의지하는 시스템은 결코 오래 유지될 수 없습니다.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평균을 훨씬 상회하는 도덕심이나 용기를 기대할 수 없으니까요. 중국 법제를 연구하는 사람들의 의견은 공통적입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가 영웅담으로 알고 있는 포청천의 신화가 중국 사법 시스템의 발전을 가로 막고 있다는 것입니다. 문제가 많은 시스템임에도 포청천 같은 사람 하나가 나오면 잘 돌아 갑니다. 그래서 개혁이 오히려 늦어지게 되죠. 그리고 잘못된 시스템은 존치가 됩니다. 만약 모든 독재자가 싱가포르의 리콴유 같다면 민주주의보다 독재가 더 나을 가능성도 있겠죠.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흔히 말하는 원님 재판. 드라마에서 포청천이 검사와 판사의 역할을 다합니다. 포청천이니까 그렇게 해도 공명정대한 판결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중국의 공산당원 판사가 공안을 끼고 누군가 죄가 있다는 전제 하에 수사를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그 판사는 자기의 행동이 정의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만 당하는 사람은 얼마나 살벌할까요? 만약 그 사람이 죄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민주주의의 기본은 권력 기관의 상호 견제입니다. 그 근본은 삼권 분립이죠. 법원에 판사, 검사, 변호사가 있는 것은 결국 대등한 당사자가 치열하게 법원에서 다투는 것이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데에 가장 부합한다는 역사적 경험에서 비롯됩니다. 판사는 판결만을 내립니다. 최대한 객관성을 담보하려는 겁니다. 뛰어난 개인의 역량에게 기대는 것은 장기적인 아웃풋에서 결코 우수한 시스템을 이길 수 없습니다. 굳이 포청천에게 읍소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어떤 사회적 지위를 가졌던 간에 소장을 보내서 그 사람을 법원에 부를 수 있어야겠죠.

이런 시스템이 우리 사회에 갖추어졌을까요? 과연 한국의 법원은 충실히 이 같은 법치주의의 근간을 이행하고 있을지 그에 있어 의문이 남습니다. 지금도 그러는지 모르겠지만 불과 십년 전만 해도 국내 최고라 불리던 모 로펌은 재판을 앞둔 의뢰인에게 담당 판사의 인맥도를 파워포인트로 브리핑 해주었습니다. 그리고 말하죠. 이 판사의 사법연수원 동기, 그 중에서도 독서실 옆 자리에서 공부하던 변호사가 사건을 맡을 것이다, 그렇게 의뢰인을 안심시킵니다. 사실 옆자리였다고 사이가 좋았을지 안 좋았을지는 모르는 겁니다. 잘 안 씻어서 냄새가 난다고 싸웠다던가 오히려 그럴 수도 있겠죠. 하지만 이걸 믿고 의뢰인은 덥석 고가의 사건 수임을 맡기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한국 사회 전반은 물론이요 법정에서조차 이 같은 법치주의가 명확히 실행되고 있는지는 상당한 의문이 남습니다.

이제 마무리를 짓겠습니다. 한국은 기본적으로 법치주의 사회가 아닙니다. 다양한 사람의 의견 수렴이 아니라 소수 리더들의 리더십으로 여기까지 왔죠. 국가가 주도가 된 경제발전과, 탁월한 창업주의 지도력 하에 성장한 대기업 그룹 집단 등이 그 예입니다. 그것이 틀렸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다변화된 시대에서, 그러한 종전의 시스템이 유용한가 의문이 있습니다. 아니 단순히 사회의 발전과 부의 축적이 아니라, 비법치인 사회, 소위 말하는 인정이라는 미명 하에 위계에 의한 권위주의가 횡행하고 한 개인 삶의 다양성이 위협 받는 이 사회에, 정치가들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좀 더 평등한 기회를 얻고 좀 더 행복하기 위해 법치(法治)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닌가, 형 동생이나 어른과 젊은이가 아니라 대등한 일대일로서 똑같은 권리와 의무가 존중받는 사회, 실은 그게 더 바람직한 것은 아닌가 그런 생각을 조심스레 해봅니다. 

특히 자신과 남이 가진 각자의 색깔이 동등하게 존중 받아야하는 스팀잇의 스티미언 분들에게는 더 그럴지도 모르겠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roperties (23)
post_id37,255,039
authoradmljy19
permlinklaa7e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format": "markdown", "image": ["https://steemitimages.com/DQmcHZhEYkPCbuJGJdKx7gJs6JfQuunEGBbG7mwQ4ckiQmC/U5dsREdUku3cJPbZsLRDv23wFfAFYnq_1680x8400.png"], "tags": ["kr", "kr-writing", "kr-diary", "kr-pen", "kr-law"]}"
created2018-03-07 13:20:48
last_update2018-03-11 13:52:09
depth0
children44
net_rshares6,783,634,853,273
last_payout2018-03-14 13:20:48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20.770 SBD
curator_payout_value6.382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9,027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uthor_curate_reward""
vote details (65)
@woolnyeo ·
정말 글 쓰실때 많은 고민과 노력이 보이는 글 이라서 정독하고 갑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255,742
authorwoolnyeo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32443407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3:24:42
last_update2018-03-07 13:24:42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3:24:42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52
author_reputation1,601,195,808,042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ㅎㅎ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properties (23)
post_id37,263,863
authoradmljy19
permlinkre-woolnyeo-re-admljy19-laa7e-20180307t141010010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10:12
last_update2018-03-07 14:10:12
depth2
children0
net_rshares487,110,041
last_payout2018-03-14 14:10:12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8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uthor_curate_reward""
vote details (1)
@calist ·
'동양 사회가 서구 사회에 왜 패배했을까'는 질문을 던지셨을 때
막연하게 서구는 '물질우선', 동양은 '정신우선'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다
'법치주의로 어떻게 설명을 하시려는 거지???'
'법치주의와는 무슨 상관이..???'

그런데 글을 읽으면서 조금씩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특히나 ' 수평적 사회구조를 창출' 이 부분에서 아~!하고 무릎을 치게 되더군요.

[실은 우리가 좀 더 평등한 기회를 얻고, 좀 더 행복하기 위해 법치(法治)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닌가]

님의 마지막 의견에 동감하고 갑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257,630
authorcalist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33533405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3:35:36
last_update2018-03-07 13:35:36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3:35:36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300
author_reputation16,176,661,164,864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서구와 비서구를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저 시각은 글을 쓴 저조차도 백퍼센트 옹호하지는 않습니다만 좀 글을 흥미 위주로 써보려고 하다보니 약간 이런 식으로 쓰게 됐네요 ^^;
properties (22)
post_id37,264,158
authoradmljy19
permlinkre-calist-re-admljy19-laa7e-20180307t141149219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11:51
last_update2018-03-07 14:11:51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11:51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15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pinkdunt · (edited)
법치주의 인문학 정말 잘 읽었습니다 훌륭한 글입니다!!! 공감합니다 
한편 법치주의 정말 민주주의 근간입니다
때로 사람 사는 곳에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우정과 사랑 그리고 친절함도 너무나 중요합니다
인간의 존엄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법치주의를 바탕으로 그 인간이 살아가면서 이성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데는 역시 감성이 큰 역할을 한다고 믿습니다
AI시대에는 정의에 입각한 인간의 감성적 공감능력과 소통 그리고 반응 능력을 제고하는 거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259,733
authorpinkdunt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34705044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3:47:03
last_update2018-03-07 13:47:57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3:47:03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60
author_reputation997,444,842,10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사실 여러 가지 면에서 조화가 되어야 겠지요 ^^; 경우에 따라서는 덜 감성적이고 차가워 보이는 것이 큰 틀에서는 더 바람직한 결과를 야기하는 경우도 있겠지만요 ㅎㅎ 

AI 시대라.... 사실 그 시대가 본격적으로 온다면 저 위에 제가 써놓은 관점도 의미가 없고 인간은 정말 감성에 더 집중해야할 수도 있겠지요. 아직은 좀 많이 남았다고 생각합니다만...
properties (22)
post_id37,264,696
authoradmljy19
permlinkre-pinkdunt-re-admljy19-laa7e-20180307t141458026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15:00
last_update2018-03-07 14:15:00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15:00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99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cyanosis ·
근래 생각하던 주제 중 하나입니다. 다만 근래 공부를 해보니 동양을 일괄적으로 인치라고 보기는 힘들고, 나름 정교한 법제도가 비슷한 시기 서양만큼 혹은 그 이상 정립되어 있더군요. 다만 어느 시점, 특히 시민혁명과 입헌군주제의 탄생과 함께 격차가 생겨난 것 같습니다...
👍  
properties (23)
post_id37,260,056
authorcyanosis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34839161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3:48:39
last_update2018-03-07 13:48:39
depth1
children3
net_rshares596,621,423
last_payout2018-03-14 13:48:39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51
author_reputation1,494,322,874,274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uthor_curate_reward""
vote details (1)
@admljy19 ·
사실 대명률이나 경국대전도 상당히 체계적인 부분이 있고, 조선만 해도 왕이라고 다할 수 있던 것도 아니었지요 ㅎㅎ 저 글은 실은 회사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30분짜리 짧은 강의를 한다고 쓴 것이라 다소 비약도 있을 겁니다. 서구가 법치주의여서 부강해진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신대륙이랑 가까워서 일찍 부를 획득해서 그만큼 사람들이 먹고 살만했기에 법치나 민주주의가 발전할 것일 수도 있겠죠
properties (22)
post_id37,265,078
authoradmljy19
permlinkre-cyanosis-re-admljy19-laa7e-20180307t14170994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17:12
last_update2018-03-07 14:17:12
depth2
children2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17:12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17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cyanosis ·
네 효율적 통치를 위한 법치주의의 발전.. 일 수도 있지요. 다만 분명히 원글에서 말씀하신대로 법치주의가 원인인지 결과인지를 떠나 최소한 근대에 가까워지는 시점부터는, 격차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한 주요한 원인인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270,994
authorcyanosis
permlinkre-admljy19-re-cyanosis-re-admljy19-laa7e-20180307t14502892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50:30
last_update2018-03-07 14:50:30
depth3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50:30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32
author_reputation1,494,322,874,274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mystory03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263,545
authormystory03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40812666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08:15
last_update2018-03-07 14:08:15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08:15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5
author_reputation328,599,324,760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properties (22)
post_id37,265,146
authoradmljy19
permlinkre-mystory03-re-admljy19-laa7e-20180307t141731766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17:33
last_update2018-03-07 14:17:33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17:33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5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yeonhage ·
> 뛰어난 한 개인의 능력에만 의지하는 시스템은 결코 오래 유지될 수 없습니다.

이게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지금 대통령이 아무리 좋다고 사람들이 나팔을 불어대도 불안한 이유입니다. 시스템은 아직도 삐그덕대는데 영웅에게만 기대서 팔짱끼는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처럼 보여요. 저도 개인적으로 여러번 겪어보았기때문에 뼈저리게 실감하고 있습니다. 머나먼 법치주의네요.
properties (22)
post_id37,264,559
authoryeonhage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41410767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kr/0.1", "tags": ["kr"]}"
created2018-03-07 14:14:12
last_update2018-03-07 14:14:12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14:12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08
author_reputation283,284,114,89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사실 그런 점이 분명히 있죠. 

시스템 자체가 갖추어지면 적당한 사람이 자리를 지켜도 잘 굴러가는데...  뛰어난 개인이라 함은 늘 등장하는 것도 아니고, 그 사람만 쓰러뜨리면 금방 와해되니까요 

아직 멀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면에서...
properties (22)
post_id37,265,500
authoradmljy19
permlinkre-yeonhage-re-admljy19-laa7e-20180307t141916532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19:18
last_update2018-03-07 14:19:18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19:18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34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yjs3694 ·
법치주의. 참 좋은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언제 어디에선가 그런말을 들은적이 있습니다. 법치주의란 것이 서민들이나 일반시민들이 교통법규 잘 지키는 것이 법치주의의 전부가 아니다. 그것은 극히 일부일 뿐이다. 법치주의란 권력을 가진자와 법을 집행하는자, 법을 만드는 사람들로 하여금 법을 지키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더군요. 듣고 보니 참 어려운 일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글 너무 좋아합니다.  앞으로도 많이 써주셨으면 좋겠네요. ^^
properties (22)
post_id37,266,581
authoryjs3694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42446668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24:48
last_update2018-03-07 14:24:48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24:48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46
author_reputation1,438,062,554,098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어렵고 사실 잘 지켜지기 어려운 원칙 중 하나요. 당장 법을 다루는 법조인들은 법조인이라는 직업을 예전 과거 시험 합격처럼 생각해서 폐쇄적인 특권의식을 가지기 쉬우니까요 ^^ 뭐든 어려운 것 같습니다.

부족하 글인데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properties (22)
post_id37,457,130
authoradmljy19
permlinkre-yjs3694-re-admljy19-laa7e-20180308t12470524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12:47:09
last_update2018-03-08 12:47:09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12:47:09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41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mif1907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그리 쉬이 쓰인 글 같지는 않군요 고맙습니다!

---
> 법이 아닌 다른 것에 의존하는 이데올로기의 특징은 이 같은 인간의 이기심을 도외시한다는 점입니다.
싸가지가 있다 없다는 막연한 이유로 수 많은 천재들이 도태되어 오거나 또는 조직 내에 수 많은 부조리가 너무나 당연한 것처럼 횡행해온 것 역시 부정할 수는 없는 사실입니다.

 이 두 문장, 기억에 남는군요. 평소에 조금씩 갖던 문제의식과 비슷해요.

>법치주의라는 것은 결국 그 사람의 인성이나 지위가 아닌 냉엄한 법문을 통해 판단을 하기 때문에 수평적 사회구조를 창출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평등한 사회... 그렇지만은 않지 않을까요? 법치주의 자체 성격은 이럴 수 있고 어느 시점까진 잘 이뤘지마는, 현대를 보면 '법 지식의 불균형' 때문에 더 불평등해진다고 봅니다. 실제로 그런 사례가 많고요.
 인간이 많은 제도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겠죠...? 안타깝네요
properties (22)
post_id37,270,967
authormif1907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4501931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4:50:21
last_update2018-03-07 14:50:21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4:50:21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488
author_reputation20,313,173,491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결국 살면서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법치주의에 대입한거죠 

사실 법 지식의 불균형이라는 것도 법조인 양성을 과거 합격마냥 간주해서 소수의 특별한 사람들만 하게 만든데서 비롯된 것도 큽니다. 소수의 고시 합격자가 지식 권력을 독점하는 것은 바람직하게 보지
 않습니다. 법조인 수가 많아지면서 이런 문제는 줄어들겠죠 ^^
properties (22)
post_id37,456,672
authoradmljy19
permlinkre-mif1907-re-admljy19-laa7e-20180308t124419144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12:44:24
last_update2018-03-08 12:44:24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12:44:24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77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tutorcho ·
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만드는 제도. 그것이 결국 핵심이네요. 오늘도 명문 잘 읽었습니다~ 가즈앗!!!
properties (22)
post_id37,280,661
authortutorcho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54708822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5:47:09
last_update2018-03-07 15:47:09
depth1
children2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4 15:47:09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65
author_reputation5,695,810,810,737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ㅎㅎ 오늘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교육도 마찬가지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드네요 ^^; 역설적으로 너무 인성을 강조하는 것은 아닌지...
properties (22)
post_id37,458,485
authoradmljy19
permlinkre-tutorcho-re-admljy19-laa7e-20180308t12555315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12:55:57
last_update2018-03-08 12:55:57
depth2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12:55:57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81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tutorcho ·
둘 다 되야죠~ 인성이란 것도 결국 노력과 실력이 뒷받침이 될 때 어필할 수 있는 요소라 생각합니다~ 가즈앗!! ^^
properties (22)
post_id37,490,619
authortutorcho
permlinkre-admljy19-re-tutorcho-re-admljy19-laa7e-20180308t16151812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16:15:15
last_update2018-03-08 16:15:15
depth3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16:15:15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65
author_reputation5,695,810,810,737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euijin ·
$0.02
보는 내내 감탄밖에 안나오는 글이네요, 탁월한 명문가십니다. 엄청나서 두 번 읽었네요.

이 글을 보니 Acemoglu and Robinson의 Why Nations Fail이 떠오릅니다. 이들의 연구에서는 사적재산권을 인정하는 포용적인 법과 제도를 갖고 있는 국가가 성장의 조건이 될 수 있다고 했지요. 한국과 북한이 대표적인 예로, 분단 전에는 역사와 문화, 의식 등이 완전히 동질적이었지만, 분단되면서 어떻게 Rule을 짜는지에 대한 법 체제가 달라지니까 사람들의 유인구조가 바뀌고 경제적인 성과도 극명하게 달라졌죠.

이는 분명 풍류선생님의 논거들이 크게 유의미하다는 증거인 것 같습니다. 경제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의사결정과 유인에 의해 발전하고, 법은 그 유인을 형성할 기초를 마련하므로 분명한 연결고리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적하신 바처럼 '올바른 법 제도는 1) 유인을 촉진하고, 2) 사회구조의 형태를 결정한다.'는 식으로 이어지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뛰어난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
properties (23)
post_id37,299,837
authoreuijin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7t17462160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7 17:46:27
last_update2018-03-07 17:46:27
depth1
children0
net_rshares5,951,016,587
last_payout2018-03-14 17:46:27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18 SBD
curator_payout_value0.002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515
author_reputation1,321,633,721,392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uthor_curate_reward""
vote details (2)
@jongsiksong ·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저는 개개인은 동양인이 뛰어난데, 제도와 시스템을 만드는 압도적 천재가 서구에서 나오는 바람에 서양에 동양이 밀렸다고 생각하고 살아왔는데요. 거기에 써주신 내용 덕분에 법이라는 새로운 인식의 틀까지 생겨서 유익한 글이었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365,045
authorjongsiksong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8t012812431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01:28:21
last_update2018-03-08 01:28:21
depth1
children3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01:28:21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39
author_reputation13,386,488,420,699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sleeprince ·
제글도 아니지만 소통차 말씀올리고 갑니다. 저는 대분기라는 책의 내용에 꽤 공감하는 편입니다. 제도와 시스템을 만든 천재가 우연히 서구에서 나왔다가 보다는, 그러한 천재가 나올 경제적 풍요가 먼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풍요의 원천은 아메리카 대륙이었구요. 책에서는 도시의 인구와 무역을 추정하여, 그 이전까지 유럽이 두드러지지 않았음을 보입니다. 곳간에서 인심도 나고 문화도 나는 것이니, 그런 경제적 이득이 유럽의 문화와 학문의 발전을 가속화 했을 것입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381,703
authorsleeprince
permlinkre-jongsiksong-re-admljy19-laa7e-20180308t033624078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03:36:27
last_update2018-03-08 03:36:27
depth2
children2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03:36:27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59
author_reputation6,606,934,480,075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jongsiksong ·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440,033
authorjongsiksong
permlinkre-sleeprince-re-jongsiksong-re-admljy19-laa7e-20180308t105259490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10:53:00
last_update2018-03-08 10:53:00
depth3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10:53:00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3
author_reputation13,386,488,420,699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위의 sleeprince님이 쓰신 글도 사실 눈여겨 볼만한 내용입니다. 무엇이 선후냐, 실은 단순히 아메리카 대륙과 거리적으로 가까워 일찍 수탈할 수 있었기 때문에 물질적으로 풍요했고 그래서 서구가 더 빨리 발전했을 수도 있죠. 제가 쓴 글 자체가 서구와 비서구를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걸 전제로 했고 찾아보면 이에 반하는 증거도 많기 때문에 위의 의견에도 경청할 데가 많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458,785
authoradmljy19
permlinkre-sleeprince-re-jongsiksong-re-admljy19-laa7e-20180308t125752435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12:57:57
last_update2018-03-08 12:57:57
depth3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12:57:57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10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mintvilla ·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글이네요
궁극적으로는 서구의 시스템에 사고까지 맞춰져야하는 
아이러니함이 항상 있는것 같습니다 -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379,644
authormintvilla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8t032043266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03:20:42
last_update2018-03-08 03:20:42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03:20:42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86
author_reputation9,822,504,178,255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사실 상당히 불리한 점이죠.
카투사 생활을 하고, 영어 공부를 꾸역꾸역 하고 단순히 영어가 모국어라는게 얼마나 메리트인지를 보면서 많은 것을 느꼈지요 ㅎㅎ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roperties (22)
post_id37,461,285
authoradmljy19
permlinkre-mintvilla-re-admljy19-laa7e-20180308t131541369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13:15:45
last_update2018-03-08 13:15:45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13:15:45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05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sleeprince ·
같은 생각입니다. 사회를 살다보면 제일 부당한건, 법이 아니라 사람이니까요. 민주 사회에는 영웅이 필요한게 아니라 시스템이 필요한걸 아직 모르는 사람이 많은것 같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380,541
authorsleeprince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8t032730506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03:27:33
last_update2018-03-08 03:27:33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03:27:33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94
author_reputation6,606,934,480,075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사실 대한민국의 정치사를 이끈 삼김도, 노무현, 문재인도 어떤 점에서는 시스템의 산물이 아니라 개인의 역량에 의한 변화이자 통치라는 점에서 그 한계가 분명할지도 모르지요 ㅎㅎ 하지만 조금씩은 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몇 안되는 한국인들의 가장 큰 장점은 변화를 빠르게 이끌어내는 거니까요
properties (22)
post_id37,982,960
authoradmljy19
permlinkre-sleeprince-re-admljy19-laa7e-20180311t135432745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11 13:54:36
last_update2018-03-11 13:54:36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8 13:54:36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61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isis-lee ·
와, 정말 읽을 거리가 너무 너무 많군요 스티미가 읽을게 빈곤하다 여겼는데 아니군요 넘 잘 읽었습니다 자주 오겠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383,737
authorisis-lee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8t035213046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03:52:15
last_update2018-03-08 03:52:15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03:52:15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66
author_reputation5,754,399,373,371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ㅎㅎ 부족한 글인데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먹고 사느라 정신 없이 일한다고 너무 늦게 답글 드렸네요 저도 지금 놀러가보겠습니다 ^^
properties (22)
post_id37,983,521
authoradmljy19
permlinkre-isis-lee-re-admljy19-laa7e-20180311t135814484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11 13:58:15
last_update2018-03-11 13:58:15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8 13:58:15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79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ssin · (edited)
너무나 정성들인 포스팅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어제 글 작성하신 것 확인하였는데 몸이 피곤하여 지금 보았네요^^

주제와 조금 동떨어졌지만  '그 사람의 언어의 한계가 곧 그 사람 세계의 한계다.'라는 표현에 너무 공감하고 저에게 부족한 부분을 한 문장으로 깨달았네요. 하하.

전 세상이 바뀌길 간절하게 바라지도 노력하지도 않은채 삐뚤어진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네요. 법이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지 않음에 동의하고, 편법이라는 방법으로 행해지는 상대적 지배층의 행위들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이해는 됩니다. 만약에 내가 저 위치였다면...라는 대입을 하게 되면.. 아마 저도 비슷한 선택을 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저는 '좋은게 좋다.'하며 허허실실 살고 있지만 풍류선생님이 말씀하신 것 같은 세상이 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녁식사 맛있게 하시고 오늘 하루도 행복한 시간되시길 바라겠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424,269
authorssin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8t09044227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8 09:04:45
last_update2018-03-08 09:05:03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5 09:04:45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470
author_reputation24,049,780,175,854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ㅎㅎ 너무 오랜만에 댓글을 드리네요. 먹고 산다고 정신이 없어서 ㅠㅠ

그 사람의 언어의 한계가 그 사람 세계의 한계다라는 말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말 중 하나입니다. 외국어를 잘 하는 편은 아니지만 부족하나마 외국어를 좀 끌어올리고 원문을 보기 시작하니 생각을 하는 방식이나 범위 역시도 넓어졌다는 느낌을 받은 적도 많아서요 ^^;(허세인가?)

어차피 사람 사는 세상은 비슷한 면도 있고 괜히 보초 설 필요 없으니 바꾸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것에도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비뚫어진 시선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더 현명한 데가 있다고 보이네요. 

누구나 고생을 해서 어떤 자리로 가게 되면 특권 의식이나 보상 심리를 가지게 되죠. 그런 점에서 법이나 법조인을 좀 일반인과 유리된 먼 것으로 생각하는 그 인식은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좋은 게 좋은거죠 ㅋㅋㅋ 저도 형 동생하는 그런 관계에 장점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저 글은, 비합리적이고 무능한 전 직장 조직에 대해 어떻게 하고 싶은 말들을 끄집어 낸 것이지만, 또 한 개인으로서 인간 관계에서 느끼는 정감과 어떤 조직의 효율성을 위한 바람직한 문화가 무엇인가는 전혀 다른 것이니까요. 

주말 마무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날도 좋은데 손님분들이 가득가득 찾아오시길 바라겠습니다 ^^
properties (22)
post_id37,986,113
authoradmljy19
permlinkre-ssin-re-admljy19-laa7e-20180311t141536848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11 14:15:39
last_update2018-03-11 14:15:39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8 14:15:39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650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simtole ·
법치주의에 대한 설명을 로마 제국의 성공적인 사례와  송나라 시대 개봉부 판관인 포청천을 통하여 잘 쓰신 것 같습니다. 아주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properties (22)
post_id37,562,072
authorsimtole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9t014333234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kr/0.1", "tags": ["kr"]}"
created2018-03-09 01:43:33
last_update2018-03-09 01:43:33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6 01:43:33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89
author_reputation2,557,277,030,301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사실 좀 너무 단편적인 예시일 수는 있겠지요... 깊이가 있는 글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 서구와 비서구라는 이분법적 잣대 하에 너무 결과론적으로 판단한 것일지도요 ㅎㅎ 그래도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
properties (22)
post_id37,989,201
authoradmljy19
permlinkre-simtole-re-admljy19-laa7e-20180311t143743664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11 14:37:45
last_update2018-03-11 14:37:45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8 14:37:45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21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sindoja ·
> 민사 법원은 어떤 점에서는 수학 공식과도 같은 법 조문에 사실 관계를 대입시켜서 결론을 내는 곳이지 개별 사람들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곳은 아닙니다. 이런 점에서 법은 차가워 보이죠. 하지만 또한 대단히 효율적입니다.

알고는 있었지만 이렇게
글로 마주하게 되니 세삼 법에 대해서 너무나도
가볍게 생각했던게 아닌가 싶네요...

'무전유죄 유전무죄'라는 말이 메아리처럼
들려오게 됩니다.

잘 보고 가요
properties (22)
post_id37,583,678
authorsindoja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9t044717170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9 04:47:30
last_update2018-03-09 04:47:30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6 04:47:30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26
author_reputation281,838,293,126,444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사실 증거가 명확하고 판례가 확실한 사안은 제 아무리 비싼 변호사를 쓴다고 이기는 것은 아니지만...(그 정도로 썩은 나라는 아니니까요) 대부분 사건이라는게 어디나 모호한 구석이 있고, 특히 형사 같은 경우 검찰이 기소 및 수사권을 독점하고 있으니, 법조문의 정치함과 달리 비상식적인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죠
properties (22)
post_id37,598,325
authoradmljy19
permlinkre-sindoja-re-admljy19-laa7e-20180309t065414921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9 06:54:18
last_update2018-03-09 06:54:18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6 06:54:18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176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duero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인문사회학적 통찰력이 대단하시군요.
properties (22)
post_id37,613,305
authorduero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09t084636898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09 08:46:39
last_update2018-03-09 08:46:39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6 08:46:39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41
author_reputation141,615,604,692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edited)
과찬이십니다 ㅎ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roperties (22)
post_id37,987,061
authoradmljy19
permlinkre-duero-re-admljy19-laa7e-20180311t142204128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11 14:22:06
last_update2018-03-11 14:22:30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8 14:22:06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6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pistol4747 ·
>만약 어떤 여성 분이 남자에게 프로포즈를 받았다고 가정합시다. 감동의 이벤트가 끝나 결혼을 결심한 그 순간 남자가 갑자기 품에서 뭔가를 주섬주섬 꺼냅니다. 그런데 그게 다른 게 아니라 이혼 계약서입니다.

저는 왜 이 글의 핵심을 이걸로 봤을까요... 이 글을 생각하면 이 부분부터 떠오를 것 같습니다 ㅎㅎㅎ

<총,균,쇠>에서 제가 흥미롭게 봤던 부분은 서구의 '승리'가 가능했던 원인 중에 유럽 대륙의 특수성, 예컨대 수많은 소국들어 모여 있으므로 늘 전쟁에 대비해야했고, 상대를 제압하기 위해 문물을 받아들이는 장벽이 무척 낮았다... 고로 기술의 발전이 있었다는 점, 그리고 언급해주신 것처럼 언어가 유사어족인 관계로 서로 의사소통이 원활했던 점이 주요했던 것 같습니다.

어쨌거나 서구 세계는 이질적인 문화가 수없이 전쟁, 그리고 통합과 분열을겪으면서 법치주의의 강화를 불러올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생존을 위한 경쟁이 강력한 문명을 만들어냈다는 결론일까요...

<넛지>에서도 나오는 내용이지만 저 역시 인간이 상상이상으로 어리석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인정'하며 적절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법치주의는 과연 인간의 어리석음을 해석하는데는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만, 언급해주신 것처럼 법치의 타락이 불러올 패악도 무시해선 안되겠죠!
properties (22)
post_id37,784,354
authorpistol4747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10t084336609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10 08:43:42
last_update2018-03-10 08:43:42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7 08:43:42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665
author_reputation11,452,199,077,07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ㅋㅋㅋㅋㅋㅋ 사실 원래 회사원들 대상으로 하던 강의였고 마침 강의 듣던 분 중 막 결혼한 친한 여자 분이 있어서 좀 웃길려는 의도에서 세팅한 질문이었어요.

만약 중국이 진시황에 의해 통일되지 않고 춘추전국시대가 유지가 되었다면 어떤 점에서 유럽과 비슷한 역사 전개를 보여줬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되네요 ㅋㅋ 총, 균, 쇠는 저도 보았고 총균쇠의 견해에 비하면 제가 쓴 내용은 사실 다소 이분법적에다가 논거도 부족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그 총균쇠조차도, 다른 관점에서 비판하는 글이 많으니, 막연히 서구의 제도가 우수해서 서구가 승리했다 이렇게 말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그냥 30분 강의라는 한정된 시간을 바탕으로 제가 만들어낸 흥미거리 정도의 '설'입니다 ^^; 

넛지를 꼭 읽어봐야 하는데... ㅋㅋㅋㅋ 아직 못 읽어봤습니다. 워낙 추천을 많이 받았는데... 제 포스팅 내용 중 일부 관련성 있는 부분이 있다면 특히나 더더욱 읽어봐야 할 듯요 ^^
properties (22)
post_id37,987,677
authoradmljy19
permlinkre-pistol4747-re-admljy19-laa7e-20180311t142627618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11 14:26:39
last_update2018-03-11 14:26:39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8 14:26:39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487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millionfist ·
정독하고 리스팀 합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properties (22)
post_id38,039,175
authormillionfist
permlinkre-admljy19-laa7e-20180311t205232491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kr/0.1", "tags": ["kr"]}"
created2018-03-11 20:52:33
last_update2018-03-11 20:52:33
depth1
children1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8 20:52:33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23
author_reputation13,015,008,151,313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
@admljy19 ·
부족한 글 읽어주시고 리스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좋은 저녁 되시기 바랍니다 ^^
properties (22)
post_id38,134,221
authoradmljy19
permlinkre-millionfist-re-admljy19-laa7e-20180312t110111133z
categorykr
json_metadata"{"app": "steemit/0.1", "tags": ["kr"]}"
created2018-03-12 11:01:33
last_update2018-03-12 11:01:33
depth2
children0
net_rshares0
last_payout2018-03-19 11:01:33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SBD
curator_payout_value0.000 SBD
pending_payout_value0.000 SBD
promoted0.000 SBD
body_length46
author_reputation16,426,897,814,016
root_title"법치(法治)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SBD
percent_steem_dollars10,000